오늘날 사람들은 다양한 SNS를 통해 일상을 공유하고 소통합니다. 특히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틱톡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사용자를 보유한 플랫폼으로, 사진과 영상, 글을 통해 실시간으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편리함 뒤에는 개인정보 유출이라는 심각한 문제가 숨어 있습니다. 프로필에 입력한 기본 정보부터 게시물, 위치 태그, 친구 관계까지 모두 외부에 노출될 수 있고, 이는 계정 해킹이나 피싱, 스토킹, 광고 타겟팅에 악용됩니다. 따라서 각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개인정보 보호 설정을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SNS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틱톡에서 반드시 확인해야 할 개인정보 보호 설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페이스북 개인정보 보호 설정 – 프로필 관리와 공개 범위 제한
페이스북은 가장 오래된 SNS 플랫폼 중 하나로, 기본 프로필 정보와 게시물 관리가 핵심입니다. 먼저, 프로필 정보(생년월일, 이메일, 연락처)는 친구에게만 보이도록 제한하거나 아예 비공개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개”로 두면 검색 엔진에도 노출되어 누구나 접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게시물 작성 시 “공개”, “친구”, “나만 보기”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데, 기본 설정을 ‘친구’로 두고 특별히 필요할 때만 공개 범위를 확장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페이스북의 개인정보 확인(Privacy Checkup) 기능을 활용하면 프로필, 게시물, 태그 설정을 한눈에 점검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위치 공유 기능은 해커나 스토커에게 위험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꺼두는 것이 좋습니다. 즉, 페이스북에서는 프로필 관리, 게시물 공개 범위, 위치 태그 차단이 핵심 키워드입니다.
인스타그램 개인정보 보호 설정 – 계정 비공개와 스토리 관리
인스타그램은 사진과 영상 중심의 SNS로, 젊은 층과 인플루언서들이 많이 사용합니다. 그러나 사진 중심 플랫폼 특성상 개인정보 노출 위험이 더 크기 때문에 계정 비공개 설정은 필수입니다. 계정을 비공개로 전환하면 팔로워로 승인한 사람만 게시물을 볼 수 있어 불특정 다수의 접근을 막을 수 있습니다. 또한 스토리 공유 관리도 중요합니다. 스토리는 24시간만 노출되지만, 캡처하거나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민감한 정보를 포함하면 위험합니다. 스토리를 특정 친구에게만 공개하거나, 차단 목록을 만들어 관리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인스타그램의 활동 상태 표시 끄기 기능도 활용해야 합니다. 이 기능을 비활성화하면 다른 사용자가 내가 언제 접속했는지 확인할 수 없으므로 사생활 보호에 유리합니다. 따라서 인스타그램은 계정 비공개, 스토리 공개 관리, 활동 상태 차단이 핵심 보안 포인트입니다.
틱톡 개인정보 보호 설정 – 댓글 필터링과 추천 노출 차단
틱톡은 짧은 동영상 콘텐츠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는 플랫폼입니다. 하지만 누구나 영상을 쉽게 공유하고 퍼갈 수 있기 때문에 개인정보 유출 위험이 높습니다. 첫 번째로 확인해야 할 것은 댓글 관리입니다. 틱톡에서는 댓글을 ‘모두 허용’, ‘친구만’, ‘비허용’으로 설정할 수 있는데, 기본값인 ‘모두 허용’은 피해야 합니다. 악성 댓글이나 개인정보 요구 메시지가 들어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는 추천 피드 노출 차단입니다. ‘내 계정을 다른 사람에게 추천하지 않기’ 설정을 활성화하면, 모르는 사람이 내 계정을 무작위로 발견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동영상 다운로드 제한을 걸어두면 타인이 내 영상을 저장해 악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틱톡에서는 댓글 제한, 계정 추천 차단, 영상 다운로드 제한이 개인정보 보호의 핵심 키워드입니다.
SNS는 개인의 일상과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소중한 도구이지만, 동시에 개인정보 유출이라는 위험을 안고 있습니다. 페이스북에서는 프로필 정보 관리와 공개 범위 제한, 인스타그램에서는 계정 비공개와 스토리 관리, 틱톡에서는 댓글·추천·다운로드 설정이 보안의 핵심입니다. 사용자는 각 플랫폼의 설정 메뉴를 꼼꼼히 확인하고, 필요 이상으로 개인정보를 노출하지 않아야 합니다. 결국 안전한 SNS 사용의 핵심은 플랫폼이 제공하는 보안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는 습관입니다. 작은 설정 하나가 계정을 지켜주고, 나아가 온라인에서의 안전한 생활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정보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한 브라우저 사용법과 추천 브라우저 설정 (0) | 2025.09.01 |
---|---|
메신저(카톡, 텔레그램 등) 개인정보 보호 설정 (1) | 2025.08.31 |
위치 정보 공개의 위험성과 안전 대책 (1) | 2025.08.31 |
링크 클릭 사기(피싱 링크) 구별하는 방법 (1) | 2025.08.29 |
SNS에 올리면 위험한 개인정보 유형 (1) | 2025.08.29 |
이메일 계정 해킹 예방을 위한 실천 가이드 (1) | 2025.08.29 |
중복 계정 & 비밀번호 재사용의 위험성 (2) | 2025.08.28 |
2단계 인증(2FA)을 설정해야 하는 이유와 방법 (0) | 2025.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