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용 PC(피시방, 도서관) 이용 시 개인정보 보호법
피시방, 도서관, 카페와 같은 공공장소에는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공용 PC가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컴퓨터는 많은 사람이 차례로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로그인한 정보나 검색 기록, 입력한 데이터가 다음 사람에게 그대로 노출될 수 있습니다. 특히 이메일, 인터넷 뱅킹, 온라인 쇼핑처럼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비스를 사용할 경우, 공용 PC는 해커의 표적이 되기도 합니다. 실제로 악성 프로그램이 미리 설치되어 비밀번호 입력을 가로채거나, 브라우저 자동 저장 기능을 통해 계정 정보가 남는 사례가 빈번합니다. 따라서 공용 PC를 이용할 때는 단순히 편리함만 생각해서는 안 되며, 반드시 개인정보 보호 원칙을 지켜야 합니다. 이를 위해선 사용자가 직접 보안 습관을 실천하는 것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개인정보 ..
메신저(카톡, 텔레그램 등) 개인정보 보호 설정
스마트폰 시대에서 메신저는 단순한 대화 수단을 넘어 일상과 업무의 중심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카카오톡, 텔레그램, 왓츠앱 같은 서비스는 사진, 문서, 금융 정보까지 주고받는 창구가 되면서 사실상 개인 정보의 집약소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동시에 위험을 내포합니다. 메신저 계정이 해킹당하거나 보안 설정이 허술하다면 사적인 대화 내용, 연락처 목록, 금융 기록까지 외부로 유출될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피싱 메시지, 스팸 초대, 계정 도용 시도가 늘어나면서 메신저 보안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순히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수준을 넘어, 각 메신저가 제공하는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정확히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카카오톡 개인정보 보호 설정 – 프로필 관..